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쇄가능 태양전지의 삼차원 모폴로지

전문가 제언
○ 유기고분자 태양전지는 뛰어난 생산 용이성과 유연성 그리고 경량의 장점을 가지며 신문지처럼 롤투롤 인쇄로 제조될 수 있어 인쇄가능 태양전지(PSC)라고도 한다. 경제성이 높아 아직 낮은 변환효율과 짧은 수명에도 불구하고 휴대기기 전원 등에 가시적 응용 가능성이 보여 인기가 높다.

○ 공액이중결합의 반도체 유기 고분자 기반 태양전지 중 고분자 태양전지는 유기 저분자 태양전지와 달리 용액가공이 가능하여 설비투자비가 저렴하다. 현재 PSC 기술은 주개 P3HT/받개 PCBM 블렌드의 최대 계면을 가져온 벌크이종접합(BHJ) 설계가 지배적인 기술이다. 최근 고분자 화학의 무궁한 가능성에 의거 PSC 목표로 1~2년 내 모듈효율 약 4%, 3년 수명 그리고 발전비용 1$/Wp를 공표한 저명한 미국 회사도 있다.

○ 현재 PSC의 첫째 과제는 변환효율 향상이다. 저효율의 첫째 요인인 태양에너지 흡수부족 대책은 PCDTBT와 같은 띠 간격 좁은 반도체 고분자에 의한 적색파장대 이용 및 TiOx 광 스페이서 이용 탠덤 셀 기술개발 등이다. 둘 모두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광희 교수 팀이 발표하였다. 둘째 요인인 전극까지의 전하수송 불충분 대책은 전하 이동도 및 안정성이 높은 ZnO 등 무기반도체 받개와의 하이브리드 기술개발이다.

○ 이 글은 BHJ에서 주개와 받개 블렌드 박막의 모폴로지 및 이의 PSC 성능에 미치는 영향연구 등에 전자 단층촬영법(ET) 사용을 설명하고 있다. ET에 의한 P3HT/PCBM 및 P3HT/ZnO 기술 분석의 두 예는 문제점 이해에 큰 도움이 된다. ET는 이차원 영상과 달리 TEM으로 여러 각도에서 촬영한 일련의 이차원투영으로부터 나노미터 해상도의 삼차원 구조를 정량적으로 재구성해준다. ET는 특히 콘트라스트 좋은 P3HT /ZnO 시스템의 저효율 이해를 쉽게 하여 조속한 해결에 희망을 준다.

○ 한국의 고분자 태양전지 연구는 GIST가 중심이 되어 이 교수 외 A.J. Heeger 교수, 김동유, 나석인 등의 팀이 변환효율, 브러시 페인팅법, ITO 대체 등의 세계적 성과를 내고 있다. 반도체 고분자 등의 국산화 개발이 시급한데 고부가 정밀화학 지원의 장기적 국가정책이 중요하다.
저자
Joachim Loo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3(10)
잡지명
Materials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20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