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연료에 대한 기회와 과제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화석연료 유래 디젤오일에 비해서 물성이 우수하고 친 환경적인 연료이다. 최근 바이오디젤 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량은 2000년에서 2008년 사이에 10배 증가하였다. 바이오디젤은 보통 식물성기름과 알코올을 촉매를 사용하여 전이에스테르화반응에 의해서 생산한다. 바이오디젤 생산비가 높은 주원인은 비싼 원료가격에 크게 기인 한다.
○ 이 문헌에서는 바이오디젤의 세 중요한 분야를 강조하여, 차세대 녹색 연료로서의 전망을 기술하였다. 첫째는 바이오디젤의 개요로서 개발 역사와 다양한 원료자원에 대하여 소개하였으며, 또한 바이오디젤 생산기술을 포함하였다. 둘째는 바이오디젤 산업개발의 주요 과제들을 다루었다. 에너지 공급의 보안, 환경 영향, 식량 안보, 토지이용 변화 및 상수원 문제 등을 다루었다. 셋째는 정책 및 정부의 인센티브의 중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국내의 경우 2002녀부터 바이오디젤 시범사업을 실시하였으며, 2007년 부터 전국적으로 보급 확대를 실시하여 기존경유에 바이오디젤 혼합을 의무화하였다. 바이오디젤 확대 보급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문제는 원료확보 와 공정기술이다. 바이오디젤의 확대보급을 위해서는 생산비를 낮추어야한다. 따라서 원료기름 선정이 중요하며, 적합한 촉매선정 및 생산 공정의 최적화를 이루어 바이오디젤 생산비를 낮출 수 있는 기술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품질향상을 위한 정제기술과 부산물로 생성되는 글리세롤의 용도개발이 중요하다.
○ 바이오디젤 산업의 발전은 수송용 연료의 국산화 및 다변화를 이루게 하고 저탄소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므로 매우 유익하다. 국내에서는 바이오디젤생산을 위해 원료로 대두를 많이 사용하는데, 차세대 원료를 바탕으로 한 생산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바이오연료정책은 생산기술 향상을 위한 지원책을 포함하여, 원료의 확보부터 최종 바이오디젤연료 유통까지 전체 과정을 고려한 정책을 펴서 확대보급이 달성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저자
- Lin Lin, Zhou Cunshan, Saritporn Vittayapadung, Shen Xiangqian, Dong Mingdo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88
- 잡지명
- Applie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20~1031
- 분석자
- 김*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