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술과 오픈 플로우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저소비 전력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정보유통의 핵심이 되는 데이터센터 상호간, 데이터센터와 이용자간 등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와 이를 구성하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등의 소비전력이 급증하고 있다.
○ 인터넷 트래픽의 급증에 따라 통신기기의 고속화에 의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전기 라우터의 일부에 광 디바이스를 응용한 기술 등 통신기기의 저소비전력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에 따라 서버의 가상화, 클러스터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스토리지의 대용량화 등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센터의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성능이 높아지고 있다. 거대한 데이터센터가 많이 구축되고 있으므로 데이터센터의 운용비용의 경감 및 온실효과 가스 배출량의 억제 측면에서 데이터센터에서의 전력 소비량을 경감시키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광기술과 오픈 플로우 기술을 이용한 네트워크의 저소비전력화 기술을 고찰하였다.
○ 광기술을 이용한 저소비전력화 기술의 사례를 들면, (1)광 레이어(optical layer)에 의한 네트워크의 저소비전력화, (2)소비전력의 최적화를 위한 광 노드(optical node)의 채택, (3)광 레이어와 패킷 레이어의 제휴에 의한 네트워크의 저소비전력화 등을 들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기술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광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광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통신 네트워크의 고속화에 따른 통신기기의 저소비전력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유무선 통신 트래픽의 급증에 대비하여 전력 소비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에서의 전력 소비량의 경감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저자
- Soichiro Araki, Masahiro Sakauchi, Hideyuki Shimonish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93(8)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83~687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