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공학에서 사용하는 생체모방 재료
- 전문가 제언
-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국내 유수 대학들을 중심으로 조직공학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KIST의 바이오소재 연구센터에서 집중적으로 조직공학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KIST 바이오소재 연구에서는 혈관, 골 및 연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혈관에 대해 체내이식에 적합한 생분해성 고분자 지지체와 다양한 세포원의 확보를 통한 조직공학적 바이오 혈관의 실용화를 검토하고 있다.
○ 한편, 인공혈관에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매트릭스의 표면개질을 통해 생리활성물질을 고정화하여 혈관내피세포화와 신생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생체기능성 인공혈관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성체줄기세포 조건의 최적화, 세포 이식용 생체적합성 스캐폴드의 사용, 최적의 세포이식술의 확립을 통하여 심근재생술을 개발하고 심부전 환자 치료에 임상적용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골에 관련하여 바이오 인공뼈 개발을 위한 조직재생공학 요소 기술 개발을 목표로 조직재생유도 지지체 제조 및 응용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생분해성 고분자/바이오 세라믹 복합지지체의 뼈세포 배양 및 줄기세포와 Mechano-active Bioreacor를 이용한 뼈조직 재생기술 개발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 한편 연골에 관련하여서는 골수 줄기세포, 지방줄기세포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활성을 지니는 물질과 기계적 자극을 이용하여 연골 재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생체모방에 관해서는, 우리나라에서 로봇 기술 등의 적용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생체재료에 적용하는 생체모방 기술은 아직 우리나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 합성재료에 생체기능을 부여하는 연구는 아직 이론 단계에 있으며 실용화까지는 더 많은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합성재료의 생체적 합성 및 독성에 관한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 저자
- Jennifer Patterson, Mikael M. Martino, Jeffrey A. Hubbel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3(1)
- 잡지명
- Materials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4~22
- 분석자
- 김*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