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섬유 재생산업의 시작

전문가 제언
○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2010년 현재 전 세계 탄소섬유 시장은 6만톤 규모이며 지난해 한국의 탄소섬유 시장은 2400톤 수준에 불과하지만 2020년에는 1만4000톤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섬유 시장은 연평균 12% 확대가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분야이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발생할 탄소섬유 폐기물을 전량 폐기하는 것보다는 탄소섬유 재생이 환경뿐 아니라 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도 상당히 클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에는 탄소섬유 제조시설이 없으며 100% 일본, 미국에서 수입에 의존한다. 일본 도레이사는 우리나라에 탄소섬유 공장을 신설하여 2013년부터 상업 가동에 들어가는 1공장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총 8800억 원을 투자, 국내 생산 규모를 연간 2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따라서 앞으로 탄소섬유 폐기물이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탄소섬유 재생에 대한 연구나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 탄소섬유 재생산업의 성공은 재생품의 품질 관리와 물성치 표준화에 달려있다. 따라서 탄소섬유 재생 공정 파라미터의 확립과 재생품의 물성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탄소섬유 재생품이 시장 확보를 위해서는 탄소섬유의 적용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탄소섬유는 현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아직 항공기나 자동차의 차체와 같은 구조물에 많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탄소섬유를 콘크리트 구조물 및 연약지반의 보강에 활용하거나, 탄소사 필라멘트로 발열체로 사용할 수 도 있다. 탄소섬유의 적용범위를 확대함으로 자연히 재생 탄소섬유의 시장기회도 늘어날 것이다. 특히 탄소섬유는 특성상 대규모 로트 단위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아 소량이 필요한 경우에는 구입이 어려운데 재생 탄소섬유는 이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량의 탄소섬유가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사례의 개발로 탄소섬유 재생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
Vicki P. McConne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54(2)
잡지명
Reinforced Plast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3~37
분석자
김*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