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기물의 관리 시스템 및 에너지 전환

전문가 제언
○ 오늘 날 산업체, 가정 및 도시 상업 부문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들은 그 형태가 너무나 다양하고 복잡하여 정확한 폐기물 분류 체계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 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들은 다양한 폐기물을 명확하게 분류하고 폐기물을 적절히 관리 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David A. Tillman 등은 폐기물을 기회의 연료(Fuels of Opportunity)의 하나로 표현하고 있으며 미래의 대체에너지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고체 폐기물은 열분해 및 가스화 기술을 활용함으로서 폐기물로부터 막대한 에너지를 회수하고 대기 오염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 폐기물(MSW)의 경우 대부분의 폐기물 성분이 균일 하지 않아 가스화기에 원료를 공급할 경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폐기물을 RDF(Refused Derived Fuel) 형태로 제조함으로서 원료의 조성을 균일하게 유지 할 수 있으나, 제조 원가가 비싼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 영국의 Juniper Consultancy Services Ltd.의 보고에 의하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수백 개의 폐기물 열분해 및 가스화기술이 개발 중이며, Ebara, ABB 및 Thermoselect 등은 대형 폐기물 가스화 기술을 상업화 운전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폐기물의 약 27%를 가연성 폐기물로 배출되며, 대부분 단순 소각처리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의 25%는 매립으로 처리하고 있어 좁은 국토에 폐기물 매립은 한계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폐기물 재활용과 새로운 처리 방법과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고체 폐기물의 열분해 및 가스화 기술 개발을 통해 폐기물 배출 양을 줄여 환경 문제를 완화시키고 에너지를 회수 할 수 있는 폐기물 가스화 복합 발전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자
Ayhan Demirba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1
권(호)
52
잡지명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280~1287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