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 California Geysers 지열발전의 역사

전문가 제언
○ 지구상에서는 총 72개 국가에서 지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하고 있으며, 연간 총 이용량은 75,943GWh/y로, 유류 1억7천만 Barrel(2,540만톤)을 매년 절약한 것과 같으며,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CO2가스 2천 400만톤을 매년 줄이는 결과가 된다.

○ 150℃ 이상의 고온성 지열에너지자원의 가장 중요한 이용형태는 지열 발전이지만 중∼저온성의 지열에너지자원은 온도 영역별로 다양하게 직접 이용되고 있으며, 고온성 지열자원도 지열발전 후의 폐열수를 건물난방, 온실난방, 양어장 난방, 수영장 난방 등에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있다.

○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의하면 1996년 세계 총 전력 소모량은 1,370만GWh로 지열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0.4% 이하이었으며, 2000년 이후 2005년까지 지열발전 시설용량은 960MWe가 증가하여 연평균 190MWe가 증가하였을 뿐이었다.

○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에 의하면 2005년도 세계 총 발전량은 1,580만GWh/y이었고, 지열 발전량은 57,000GWh/y로 지열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0.5% 이하였으며, 최근 원유가격의 폭등과 매장량의 감소는 지열발전량 증가를 유도하고 있지만 이는 일부 정부정책과 규정에만 영향을 미쳤거나 투자자들을 유혹하는 약간의 자극제가 되었을 뿐이었다.

○ 세계 지열발전 5위권 국가현황은 시설용량, 연간 발전량, 연간 에너지 생산량 등에서 1위가 미국, 다음으로 Philippines, Mexico, Indonesia, Italy의 순이며, 국가 전력 비중에서는 China가 30%로 1위(Tibet 포함)이며, 다음으로 Portugal(25%), Iceland(13.7%), Philippines(12.7%), Kenya와 Nicaragua가 각기 11.2%로 5위를 보이며, 국가 에너지 비중에서도 역시 China가 30%로 1위이며, 다음 El Salvador(22%), Kenya (19.2%), Philippines(19.1%), Iceland(17.2%) 순으로 그 비중은 대단히 낮은 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지열발전이 전무한 것이 아쉽다.
저자
K.P. Goyal, T.T. Cona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Geotherm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1~328
분석자
오*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