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계의 안전리스크 평가와 안전설계

전문가 제언
○ 산업시설의 확대와 대형화, 신산업의 출현 등으로 산업재해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재해는 바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낳을 뿐만 아니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산업현장에 외국근로자의 조업 증가에 따른 산업재해 증가가 중요한 이슈로 제기되고 있는 현실은 이를 잘 반영한다.

○ 이 자료는 기계설계에 있어서 리스크 평가와 안전설계와 관련해 최근 일본에서의 기계?설비관련 재해 상황과 국제 관련규격 및 기계설계의 리스크 평가를 다루고 있어 산업재해의 현실문제에 직접 관련된 이슈를 제공하고 있다.

○ 기계?설비에 의한 사고발생은 설계요인보다 작업자의 부주의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일본에서 과거 발생한 산업재해의 경우를 보면, 약 80%의 사고가 적절한 방지대책을 실시했으면 방지할 수 있었고, 기계공작 작업을 할 때 일어나는 사고의 전형은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기계에 끼거나 감기는 경우가 많다고 분석하였다.

○ 국내에서 2010년에 발생한 기계재해 역시 기계 사이에 협착하거나 추락하는 사고가 많다. 예컨대, '프레스 금형 사이에 협착'(9월), '벨트 컨베이어 스커트 조정작업 중 협착'(9월), '전기로 상부에서 고철제거작업 중 추락'(9월), '산업용 로봇 주변 청소작업 중 협착'(2010년 7월), '용접로봇 정비작업 중 가공물 고정지그 사이에 협착'(6월) 등이 그 예이다(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

○ 국제 기계안전규격인 ISO 12100은 당연히 설계와 리스크 평가 위주로 규정하고 있다. 기계?설비의 설계자와 사용자의 안전준수사항을 기본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이미 기계무역에 깊이 참여하고 있는 우리나라기계제작자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ISO규격을 따라야 할뿐만 아니라 대응 KS규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계재해 저감이슈의 초점은 작업자가 작업안전을 철저히 준수하는 교육과 관리에 있다 할 것이다.
저자
FUKUDA Takafu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54(2)
잡지명
機械設計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39~44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