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사용 후 가전제품의 소재 리사이클에 대한 유가물질 총량의 산정과 평가

전문가 제언
○ 지구환경문제와 국가 간의 자원 수급 불안이 오늘날 국제적인 현안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전 세계의 최대 희소금속 생산국인 중국과 일본 간의 센가쿠 열도(중국명: 댜오위아오) 분쟁으로 인한 희토류금속 수출 중단 카드로 양국 간의 자원무기화 공세가 표면화된 것은 국제 간의 큰 파문으로 비화하였다.

○ 1972년 로마클럽(Club of Rome)은 그 연구보고서인 「성장의 한계」에서 20세기 내에 지구의 파국이 초래되고, 그것은 재생 불가능한 천연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의해서 발생할 것으로 경고하였다. 이러한 경고를 수용하여 세계는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회의」등을 개최하여 「지속가능한 사회」,「저탄소?녹색성장 사회」라는 정책을 개발?추진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 발표된 바와 같이 금, 은, 동 등의 도시광석 TMR은 자연광석보다 작다. 그것은 고도의 파쇄?선별 프로세스로 인하여 종래에 비해서 2배 정도의 에너지를 투입하더라도 자연광석보다 작은 환경교란으로 금, 은, 동을 리사이클 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리사이클링의 당위성을 주장한 것으로 보여져 고무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 일본은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도시광산 개발을 강화하는 한편 코발트, 몰리브덴 등이 고농도로 함유된 휴대폰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지방정부 및 대리점을 통하여 회수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기술문제로 자원보유국에서 처리 불가능한 광석을 일본으로 반입하여 주요자원을 재생하는 범 아시아 자원순환시스템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는 타산지석으로 여겨진다.

○ 우리나라의 도시광산은 정부의 선도 하에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산?학?연을 중심으로 컨센서스가 모아지는 가운데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정평이 나있고, 또한 폐전기전자기기(WEEE)의 스톡이 많으나 효율적 회수 시스템과 유가금속 회수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저자
Eiji Yamasue, Ryota Minamin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74(12)
잡지명
日本金屬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11~819
분석자
신*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