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아미드의 바이오 베이스화 동향
- 전문가 제언
-
○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것들 중에는 식량문제, 에너지?자원 문제 그리고 환경문제가 있다. 플라스틱이나 각종 합성재료는 현재 주변 환경에 깊숙이 침투되어 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유한한 석유자원에 의존하고 있어 자원문제와 환경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그 해결책으로서 이들의 원료를 바이오매스(biomass)화 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석유화학에 의존한 현재의 화학공업에서는 에틸렌, 프로필렌을 획일적으로 출발원료로 하고 있다. 바이오자원 이용에서는 대사과정의 다양한 화합물을 출발원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의 화합물 합성에 이르는 공정을 크게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해 인구증가에 기인하는 제반문제 해결책의 하나로서 바이오연료와 함께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발도 중요한 대책으로서 기술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 대표적인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으로서는 폴리젖산이 잘 알려져 있고 연구개발 보급도 폴리젖산이 거의 주역이다. 그의 주된 용도는 포장재료 분야로서 경쟁 재료는 PE, PP 등의 저렴한 플라스틱류이다. 따라서 가격적 불리함으로 보급이 원활치 못하다. 부가가치가 높은 고성능 분야에서의 바이오플라스틱 응용이 보급을 위한 한가지의 방책이 될 것이다.
○ 한국은 화석연료 자원이 부족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바이오매스 활용측면에서도 여러 가지로 불리한 위치에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고 주도권을 갖기 위해서는 해외자본 내지는 국가들과의 협력 관계를 활발하게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근본적인 방법으로는 자원이 아닌 기본기술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민간 기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국가적인 관점에서 프로젝트화 하여 전력투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더 한층 바이오정제(bio-refinery)의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환경에 우수한 재료가 많이 탄생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Atsyoshi Naka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66(11)
- 잡지명
- 纖維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8~372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