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보호에서 재생에너지원의 역할

전문가 제언
○ 청정에너지원과 이들 자원을 최선의 사용으로 간주되는 재생 가능한 기술은 환경영향을 최소로 하고 최저 2차 폐기물을 생성하며 그리고 현재와 미래 경제적 사회적 활동의 필요를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것이다. 태양은 모든 에너지원이며 태양에너지의 기본적인 형태는 열과 빛이다.

○ 태양광선과 열은 수많은 방법으로 환경에 의하여 변형되고 흡수된다. 이들 변형의 일부는 바이오매스와 풍력에너지와 같은 재생에너지 흐름이 일어난다. 재생에너지 기술은 재래 에너지원을 대신하므로 온실가스 배출완화 그리고 지구온난화 감소를 위한 우수한 기회이다. 이 리뷰는 태양열 조리기, 온수기, 건조기, 바이오연료, 개선된 요리용 레인지 그리고 수소에 의하여 CO2 완화의 범위가 이루어졌다.

○ 국외에서는 2010년 Pal A등은 Journa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69(5)에 “Thumba(Citrullus colocyntis) seed oil: A sustainable source of renewable energy for biodiesel production" 또한 Hussain S등은 Environmental technology 30(6)에 "Trimetallic supported catalyst for renewable source of energy and environmental control through CO2 conversion" 을 각각 발표하며 왕성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는 2009년 황재훈 등은 한국 신재생에너지학회지 5(2)에 “다양한 폐자원을 적용한 바이오 수소 생성연구”, 2010년 정금호는 한국도서(섬)학회지 22(4)에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 섬에 관한연구”를 각각 발표하였다. 2011년 1월27일 SETEC 컨벤션센터에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주최 “2011년 녹색환경산업육성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이처럼 적극적인 연구 활성화사업이 이루어지고 진행되고 있다.

○ 환경보호를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에 있어서 정부지원책도 중요하지만 민간의 투자와 또한 학계, 연구소 그리고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사업성공의 관건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저자
N.L. Panw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15(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513~1524
분석자
문*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