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교류함으로써 기업이 얻는 혜택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기업들이 대학과 교류를 함으로써 혜택을 받게 되는 여러 가지 방법 내지 유형을 조사한 것으로, 기업-대학 교류로부터 얻는 혜택은 기업의 탐구능력과 활용능력 향상 등 다면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이 연구결과는 또한 기업의 연구개발 의지, 대학 파트너들에 대한 지리적 근접성 및 연구자질 등이 기업-대학 교류로부터 얻는 다양한 혜택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류 대학과의 교류가 기업의 후속활동과 연관된 혜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한 한편, 지리적 근접성은 문제해결을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혜택으로서 중요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 이 연구에서는 표본의 대부분이 공학분야의 대학 파트너들로 구성되어 있는 바, 다른 분야에서의 교류활동도 포함하기 위해서는, 자연과학과 공학을 넘어서는 확장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다른 나라에서의 상황에서 나온 연구결과와 대조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 또한, 이 연구는 기업-대학 간 교류로부터 기업에 돌아가는 혜택에만 초점을 둔 한편, 대학 파트너들에게 돌아가는 혜택에 관해서는 다루지 않았다. 이것은 따로 연구할 가치가 있는 주제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산업사회에 부응하는 창의력 있는 인력을 양성하고 산업발전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ㆍ기술을 개발ㆍ보급ㆍ확산하여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렇듯 국가경쟁력의 강화와 경제성장의 고도화를 이룩하기 위한 당위성의 측면에서 산학협동이 강조되고 관련 사업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를 통해 받는 혜택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어렵다. 올바른 정책수립의 방향을 위해 연구해야 할 분야이다.
- 저자
- Kate Bishop, Pablo DEste, Andy Neel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1
- 권(호)
- 40
- 잡지명
- Research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30~40
- 분석자
- 김*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