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소 경제 도래와 안전문제

전문가 제언
○ 선진 각국은 수소경제 도래에 대비하여 수소생산 및 연료전지의 개발을 위한 재정 지원은 물론 수소의 안전 사용을 위한 제도적 준비를 활발히 하고 있다. 국제적 협력체제도 구축되었으며, 2009년에는 수소안전을 위한 제3차 국제회의가 개최되었다.

○ 선진국에서는 수소의 분산과 폭발을 설명하기 위한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이 채택되고 있다. 현장 실험도 실시되고 사고 데이터 은행도 설립되었다. 좁혀야 할 지식 격차도 확인되었으며, 리스크 분석기법도 검토되고 있다. 리스크 분석은 수소 저장장소, 배관, 충전소의 입지 계획, 허가, 시설 설치 지침 및 안전거리 방침을 입안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이 글은 수소 관련 불확실성을 줄이고 리스크 관리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선진국들의 연구 현황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기술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수소가스를 효율적 에너지원으로 이용 및 실용화하는데 필수선결과제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소사고 사례분석, 물리적 메커니즘 규명, 정성적, 정량적 안전성 평가 및 사고 차단기술 개발 등과 같은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 그 결과에 의거하여 관련 규정과 표준이 제정되어야 한다.

○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위의 필요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보고(이광원, 수소가스 사고 및 위험성에 대한 안전관리 기술개발, 2006)와 일부 소수 학문적인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국제적인 수소안전 활동에 발맞추어 국내에서 수소안전 워크숍이 수차례 개최되는 등 수소안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며, 6개의 KS 규격과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관한 기술지침도 제정되었다. 2009년 10월에는 제18차 수소기술 국제표준화 총회(ISO/TC197) 및 작업반회의가 개최되었다. 또 2009년 12월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수소안전연구동을 건립함으로써 수소의 안전성 및 신뢰성 평가가 가능해 졌다 하겠다.
저자
Hans J. Pasman, William J. Roger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23
잡지명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97~704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