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린 날의 태양에너지 최적추출 기법
- 전문가 제언
-
○ 한 연구(조덕기, ‘국내 태양광시스템 설치를 위한 수평면 전일사량과 운량 정밀 조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0권, 3호, 2010)에 따르면 우리나라 주요 지역에서 측정된 태양광자원, 즉 수평면 전일사량은 연 평균치로 계산하였을 때 전국이 하루에 3.61kWh/m2정도이다. 연평균 태양광 조건이 좋은 순으로 지역대를 나누면 중서부 남해안지방과 태안반도 일대가 전국에서 가장 좋은 곳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호남 및 김해평야 일대, 중부이남 및 중부이북지방 순으로 나타났다.
- 동 연구에 따르면 연평균 1일 운량치는 5.1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7월에 운량치가 가장 높고 12월이 가장 낮았다. 남해 서부지방은 운량치가 5.2로 비교적 높은 지역이었으나 전국에서 태양광 조건이 가장 좋은 곳으로 나타났다.
○ 운량은 0.0 ~10.0으로 표현되며 강수현상과 관계가 없는 구름의 양이다. 우리나라 기상청에 따르면 운량에 따른 일기는 맑음(0~2), 구름 조금(3~5), 구름 많음(6~8), 흐림(9~10이상)으로 구분한다.
○ 태양에너지는 가장 확실한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정부의 각종 장려정책에 힘입어 최근 소규모 태양광발전 설비가 대량으로 설치되었다. 2010년 12월 22일 현재 2113개의 ‘태양광발전소’가 등록되어 있을 정도이다.
- 우리나라에서 발전차액 지원제도는 2002년 도입되어 그동안 역할을 다 하였고 이제 2011년 말이면 사라지게 되었으며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로 전환하게 되었다. 2010년 3월 18일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를 규정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 보급 촉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른 것이다. 지원의 급격한 축소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점진적인 정책 변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Armstrong, S., Hurley, W.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35(4)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80~787
- 분석자
- 황*룡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