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습관의 변화가 농업생산분야의 non-CO2온실가스 생성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소득이 증가하면 육류소비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 추세이다. 본 원고에서도 먼저 기본이 되는 시나리오에서 농경지 증가율을 매 10년마다 3.5%증가하는 것으로 하고 나머지 식량수요 및 목축생산품 비율은 1995년 수치를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2055년 non-CO2온실가스배출은 8,690Mt CO2-eq로서 1995년의 5,314Mt CO2-eq에서 63.5% 증가하였으며, 육류섭취증가 시나리오에서는 76% 증가하였다.

○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아도 1969년의 1인당 하루 육류섭취량이 6.6g, 총 동물성 식품섭취량이 32g으로 총 식품소비량 1,056g의 3%이었다. 약 30년 후인 1998년의 통계를 보면 육류섭취량이 69g, 총 동물성 식품섭취량이 247.5g으로 총 식품소비량 1,290g의 19.2%로 증가하였다.

○ 이렇게 증가된 육류의 소비증가는 3가지로 나누어 그 문제점을 고찰할 수 있다. 첫째는 개인의 건강문제로서 동물성식품의 섭취증가의 결과로서 비만과 심혈관계 질병, 유방암을 포함하여 각종 암이 증가하였다.

○ 둘째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으로 동물성 식품소비 증가로 인하여 가축사육이 늘어나고, 늘어난 가축사육으로 인한 각종의 수질오염과 환경문제 및 동물에의 항생제남용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셋째는 식품분배정의 문제이다. 늘어난 가축은 더 이상 목초 풀로서 사육할 수는 없게 되었다. 사람이 식량으로 하는 곡식으로 가축을 키우자니 사람이 먹을 식량이 부족하다. 사람이 곡식을 바로 먹는 것에 비해 사육하여 고기를 먹게 되면 같은 칼로리 섭취 대비하여 10배의 곡식이 더 들어간다. 가축이 사람이 먹는 곡식을 소비함에 따라서 빈곤한 국가의 사람이 굶는 일이 생긴다. WHO에 의하면 매일 55,000명이 배고픔으로 죽어 가는데 이 중 2/3가 어린이이다.

○ 위의 문제에서 볼 때 육류소비를 줄이고 식사량을 적당하게 하는 새로운 사회운동이 있어야 하겠다.

저자
Alexander Popp, Hermann Lotze-Campen, Benjamin Bodirsk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20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51~462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