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국기반 다국적기업에 의한 R&D의 글로벌화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미국기반다국적기업에 의한 R&D의 글로벌화”를 주제로 하여서, 이론적 프레임워크, R&D국제화의 추세와 패턴, 모델 · 데이터와 계량경제방법론, R&D집중도의 결정요인 : 회귀분석결과,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R&D집중도의 국가간 차이에 초점을 두고 미국기반의 제조업다국적기업에 의한 해외 R&D투자의 패턴과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 특히, 이 글에서 R&D가 글로벌활동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R&D활동을 일정한 국가(현지국)에서 추진하려는 다국적기업의 결정은 그 국가의 전반적인 성장과 개발과정에 크게 내생되어 잇는 것 같다는 점과 국내시장규모, 지리적거리, 국가의 전반적인 해외 R&D능력과 R&D인력의 비용이 미국다국적기업계열회사 R&D집중도의 주요 결정요인이라고 한 점이 주목된다.

○ R&D글로벌화는 새로운 기술정보의 획득, 필요기술의 확보, 기술의 활용 및 확산과 관련된 활동들이 어느 특정국가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와 시장확보를 위해 국경을 초월해 전략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이에는 기술개발과 혁신의 국제화, 과학기술의 국제협력, 기술의 국제적활동, 기술의 국제무역 등이 포함된다.

○ 최근 원천기술확보, 현지 경쟁력강화, 해외 R&D인력활용을 위한 글로벌 R&D의 중요성이 커지고, 각국에서는 R&D글로벌화가 기술확보의 중요한 원천이 되어 큰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R&D글로벌화는 보다 범세계적으로 진행되고, R&D글로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다국적기업의 해외수행 R&D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그간 적극적인 해외 R&D투자유치를 위한 정책을 펼치고, 대기업을 중심으로 R&D현지화 혹은 글로벌화가 추진되어 왔으나 R&D글로벌화는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R&D글로벌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정부는 R&D글로벌화의 규모를 확대하는 정책조치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저자
Prema-chandra Athukorala, Archanun Kohpaibo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0
권(호)
39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335~134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