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나노섬유의 플렉시블 전자부품 응용

전문가 제언
○ 최근 장섬유의 나노섬유 제조 프로세스로서 주목받고 있는 가공기술은 전계방사(electrospinning)이다. 이 방법에서는 수천~수만 V의 고전압을 이용하여 방사한다. 대전극(collector) 상에 섬유를 축적시킴으로써 1단계로 부직포 상태의 시트(sheet) 재료가 만들어진다. 또한 나노섬유 표면에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입자 등의 나노 구조체를 계층적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나노섬유의 특징과 나노 구조체의 기능을 동시에 보유한 고기능 하이브리드 재료의 제작이도 가능하다.

○ 본 문헌에서는 전계방사에 의한 탄소나노섬유 시트의 제조 및 플렉시블 전극으로의 응용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나 산화아연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탄소나노섬유의 고기능화에 대하여도 소개하고 있다.

○ 탄소나노섬유의 고기능화를 도모하기 위해 섬유 표면으로의 기능성 나노 구조체(탄소나노튜브,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도입(하이브리드화)에 의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계방사를 활용한 섬유 내부의 다층 구조화에 대하여도 검토되고 있다. 하이브리드화에 있어서도 탄소나노섬유 고기능화 전개 또한 주목된다.

○ 나노 섬유나 나노 가공 등 섬유의 첨단기술도 전자, 정보, 의료 및 환경 등의 분야에서 응용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향후의 섬유산업은 지금부터라도 고성능 및 고기능 섬유를 중심으로 성장을 계속하여 매력 있는 산업으로서 발전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의 섬유산업은 한때 장치산업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았으나 지금은 선진기술 산업으로의 변환을 압박받는 격동의 시대를 겪고 있다. 1990년대까지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생산 거점으로서 세계에서 주력 생산국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나 그 후 의류 등의 양산 분야는 중국 등으로 넘겨주고 있다. 이런 흐름 가운데 한국 섬유산업은 다양한 관점에서 요소기술의 극대화와 새로운 산업의 창조를 위하여 기술혁신에 도전해야 한다.
저자
Shinji Imaizumi, Hidetoshi Matsu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11)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98~703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