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용도전개 동향

전문가 제언
○ 합성섬유 산업의 기술발전의 과제로는 크게 생산기술의 발전, 고강도/고탄성률 등의 고성능 추구, 심미성의 추구, 마이크로 추구와 나노섬유 기술, 기능성 섬유, 그리고 환경대응 등이 있다. 향후 전개방향으로서 중요한 것은 새로운 관점에서 미래를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기존의 섬유의 응용분야보다도 타 산업분야와 융합하는 복합기술로의 발전이 바람직하다. 최근에 상당한 진전을 보인 것으로는 고성능섬유와 탄성섬유의 생산, 전계방사법에 의한 생체고분자의 나노섬유, 고성능 폴리에스테르섬유 등이 있다.

○ 최근 탄소섬유와 탄소섬유 복합재료(CFRP) 기술의 발전과 함께 용도전개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문헌에서는 최근의 동향 중에서 탄소섬유, 항공기 용도와 스포츠 용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CF를 사용한 복합재료의 용도는 항공기, 인공위성 등 항공우주관련 용도와 함께 골프 샤프트, 테니스 라켓, 낚싯대 등 고급 스포츠용품이 주종이다. 대량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분야는 항공기 용도와 자동차 용도가 중심이다.

○ 최근 경량, 고강성 및 고열전도라 하는 특징을 갖는 탄소섬유와 그 용도전개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출시 당시에는 항공우주분야, 고급 스포츠 분야 등이 주된 용도이었으나, 특징을 살린 용도 분야와 원가 절감의 양축을 적정화하여 산업분야로 전개되고 있는 현재는 공업재료의 일익을 담당하기 시작하고 있다. 지금부터는 필요로 하는 탄소섬유 제품을 개발, 공급하여 금속 대체로부터 플라스틱 대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커버할 수 있는 “기능성 공업재료”로서 사회에 공언할 것으로 믿는다.

○ 한국의 경우, 핵심 원천 기술 측면과 대량 생산에 의한 가격 경쟁력 측면 사이에서 어정쩡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선진국과의 기술경쟁과 후발국과의 가격 경쟁을 극복하기에는 국내 섬유 업계의 연구개발 역량이 총체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 간에 효율적인 협력관계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부가 구상하는 “2015년 세계 3위의 섬유소재 공급기지화”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저자
Ijika Yosh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11)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72~67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