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카본나노튜브 섬유화 기술

전문가 제언
○ 탄소는 원자번호 6의 원소로서 단일물질과 화합물의 양면에 있어서 아주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소는 생물을 포함한 유기화합물의 구성원소로서 대기, 바다 및 지하에 걸쳐 1,000만 종이 넘는 화합물이 존재한다. 첨단 탄소재료로는 탄소섬유, 탄소나노튜브, 섬유상 활성탄, 플러렌, 그라핀 등이 거론된다. 특히 앞의 3가지가 탄소의 섬유상 재료로 부상하고 있다.

○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는 1990년 Iijima에 의해 발견된 물질로 그라핀시트(graphene sheet)라 불리는 그라파이트(graphite) 1장의 면이 둥그렇게 말려진 직경 0.5~수십㎚의 통 형태의 탄소계 나노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CNT는 가볍고 이론상 금속이나 세라믹 등 종래 소재를 상회하는 전기적, 열적,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자 디바이스를 위주로 하여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을 목표로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 본 문헌에서는 CNT 섬유화 기술 가운데 CNT 단독으로 섬유화 기술에 대하여 열 CVD법으로 제작한 CNT 배열체로부터 CNT 섬유(fiber)의 제작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특히 CNT 배열체로부터 CNT 섬유의 제작에 관한 연구사례를 예로 들어 CNT 단독의 섬유화 기술 개발의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 CNT에 대하여는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오고 있다. 2000년대 초반의 대학 및 기업체 연구소에서의 활발한 연구개발을 넘어 이제는 상업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대기업은 물론 다양한 벤처기업들에 의해 각종 형태의 CNT가 상품화되고 있다. 최근 CNT는 LCD패널, 연료전지 촉매제, 고분자 복합제 등의 재료로 응용되고 있다.

○ 최근에는 넥센 나노텍사가 카본나노섬유의 대량생산에 성공(매일경제2010년 4월)했다고 발표된 바 있다. 특허와 가격 등 문제로 상품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CNT를 대체하는 물질을 국내 벤처기업이 개발하여 주목을 받고 있다.
저자
Kohji Ki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11)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77~682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