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질환경 중 유기성 오염물질 정량 친환경 분석화학

전문가 제언
○ 친환경 분석화학은 분석시간을 단축하고, 용매 사용량을 줄여 폐기물 양을 줄이는 분석기술의 변형 및 개발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료 전처리 기술개발, 분석 장비의 소형화,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시간 단축 및 온라인 현장분석 기술개발 등이 요구된다. 고체상 미량추출(SPME)이 용매를 줄이는 대표적인 친환경 분석기술이다.

○ SPME는 샘플링, 추출, 농축 및 시료주입 과정이 모두 한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PDMS와 같은 고분자 추출제를 실리카 또는 시린지 내부 표면에 흡착하여 용매 없이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기술은 SBME, MEPS, TFME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또한 SDME, DLLME, SFE, SWE, ILs 등의 액상 추출 기술도 용매 량을 줄이는 친환경 기술이다. 향후 이들 기술은 분석물질 및 매질에 대한 적용 범위를 넓히고, 검출기 연결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바이오센서(biosensor)는 효소, 항체, DNA, 세포 등 생물학적 수용체와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유전자, 암세포, 환경호르몬 등을 감지한 후 전기화학, 광학 등의 신호로 변환하여 측정하며, 용매 및 전처리 과정 없이 현장 분석이 가능한 친환경 분석기술이다. 바이오센서는 의료, 환경, 식품, 군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혈당, 임신호르몬, 암세포, 콜레스테롤 측정 등 주로 의료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DNA, 단백질, 암세포 등의 측정 센서가 국내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호르몬, BOD, 중금속, 농약 등의 환경오염 물질을 측정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선진 외국의 경우 기술개발이 많이 이루어졌지만, 상용화 된 것은 소수이다. 이에 대한 국내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축산물의 대사체 판별 및 환경 중 다이옥신, PCBs 등의 분석법이 개발되었지만, 이들 물질을 검출하는 바이오센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향후 다양한 환경오염 물질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서 기술이 국내에서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Marinella Farre, Sandra Perez, Carlos Goncalves, M.F. Alpendurada, Damia Barcel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29(11)
잡지명
Trends in analytical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347~1362
분석자
조*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