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탄 연소시 슬래깅과 파울링의 발생기구 및 평가법
- 전문가 제언
-
○ 석탄 조성을 파악하여 석탄재 입자의 부착성을 평가하는 기존의 평가 방법은 슬래깅(slagging)과 파울링(fouling)에 영향을 주는 석탄재의 부착성을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지표는 석탄재의 존재 형태와 연소시에 석탄재 입자의 변화과정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부착성 평가의 정밀도가 높지 않은 것이 단점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 미분탄 연소시에 전열면에서 일어나는 슬래깅과 파울링은 화력발전소의 효율 향상은 물론이고 발전소 운영에도 많은 제한을 주고 있다. 그러므로 외국에서는 부착물의 평가방법 개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석탄재의 존재 형태와 연소시 석탄재 입자의 변화과정 등을 반영하여 평가 정밀도를 높인 새로운 평가법 (미국: PCQUEST, ADLVIC, PSI Slagging Adviser, 일본: 석탄평가시스템)이 최근에 많이 제시되고 있다. 이 평가법은 정밀도가 높으므로 앞으로 슬래깅과 파울링 평가에 크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슬래깅과 파울링 평가법의 고도화에는 보일러 운전조건 변화시에 석탄재의 부착 현상과 석탄재 입자의 부착 위치 등에 관련된 자료가 필요하며, 이의 확보에는 미분탄 연소 시뮬레이션의 활용이 불가피하다. 그러므로 석탄화력발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외국에서는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 석탄과 각종 바이오매스 연료와의 혼합연소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석탄을 이용하는 화력발전에서도 석탄 종류의 확대와 각종 바이오매스 등의 도입이 급속하게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도 석탄과 바이오매스 연료의 혼합연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 석탄재 입자의 슬래깅과 파울링의 발생기구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저자
- Hirofumi TSUJI, Yoshiko HIEI, Nobuyuki WAKABAYASHI and Hiromi SHIR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89(9)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93~902
- 분석자
- 이*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