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지구환경보호차원에서 도로·차량 간 통신과 차량 간의 통신을 활용하는 협조 형 시스템에 대하여 안전뿐만 아니라 환경의 보호와 쾌적한 운전을 목표로 한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또한 저탄소사회의 구현을 위하여 차세대 친환경자동차의 개발이 급진전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안전도 중요한 과제로 연구개발과 실용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자동차 주행 안전장치는 운전자가 주행 중에 발생하는 상황을 인지하여 판단하고 조작하는 것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운전자의 부담을 줄이고 운전자의 능력저하를 방지하며, 위급한 경우에는 차량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 자동차의 안전운전시스템은 차량단독시스템인 자율 형 안전지원시스템과 도로·차량 간의 통신과 차량 간의 통신을 이용하는 협조 형 안전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은 운전자의 리스크 감수성을 높여 안전운전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로 운전자의 실수를 보완하여 리스크를 회피하는 기술인 동시에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 일본에서는 협조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인 ITS-Safety 2010 계획, 도로·차량 협조 형 안전운전 지원시스템(DSSS, Driving Safety Support System), Smart Way, 그리고 차량 간의 통신에 의한 첨단형 안전자동차(ASV, Advanced Safety Vehicle)가 추진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안전과 동시에 기동성과 환경에 기여하는 IntelliDrive를 2013년 도입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도 PReVENT, CVIS(Cooperative Vehicle-Infrastructure System) 등 협조 형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 미래의 자동차 주행안전시스템은 수동·능동 안전시스템이 통합된 형태로 인간과 기계의 조화가 적합하게 이루어진 HMI(Human Machine Interface)의 관점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선진 기술국에서는 이미 실용화 단계에 돌입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속도로 스마트 하이웨이 구축산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이 좀 더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저자
Syunsuke Tezu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64(12)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5~59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