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췌장암의 발달과 진행에서 당뇨와 비만이 주는 복합성

전문가 제언
○ 췌장암은 가장 예후가 가장 나쁘고 치사율이 매우 높은 암이다. 미국에서는 암 사망의 4번째이고 우리나라에서도 췌장암 발생률이 근래에 많이 증가하고 치사율도 가장 높은 암에 속한다. 췌장암과 관련하여 여러 위험 요소가 있는데, 많은 역학 조사에 의하면 비만과 당뇨, 특히 2형 당뇨가 췌장암 위험요소와 상관관계가 있다.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도 비만, 당뇨와 암 등이 주되는 건강 관련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
○ 인슈린 저항성과 그에 따른 높은 인슈린 량은 당과 지방 대사를 변화하여 비만과 2형 당뇨의 성격을 띈다. 당뇨와 비만이 췌장암을 유발하는 기작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인슈린 저항성과 과다한 인슈린 분비가 인슈린/IGF-1R 신호를 활성화하여 췌장암의 유발에 기여한다고 본다. 비만인 경우 당뇨 유발, 지방 조직의 홀몬 특히 레프틴 변화와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췌장암 발달에 기여할 것이다.

○ 인슈린/IGF-1R를 목표로 한 혈액의 인슈린 량을 낮추는 항 당뇨 약은 췌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고 좀 더 정확한 임상 연구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러 많은 연구에서 항 당뇨 약인 메트포민과 PPAR-γ의 길항제인 TZD 계통은 암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그래서 이런 약은 특별히 췌장암에 항암제로서 사용할 수가 있으며, 특히 메트포민은 효과적으로 암 줄기 세포를 제거할 수가 있다.

○ 실험관과 생체 실험에서 인슈린 관련 약은 miRNA를 규제하여 유전자 발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 여러 다른 기작에 의하여 췌장암 성장을 억제한다. 아직 비만, 당뇨와 췌장암에 대한 miRNA의 역할이 완전히 이해가 되지 않으나, 선택적으로 과 발현과 저 발현을 하는 중요 miRNA로서 비만, 당뇨와 췌장암의 치료에 적용하면 좋은 전략이 될 수가 있다. 국내에서는 서울대 김빛나리 교수가 암과 miRNA의 관계를 연구를 하고 있어 큰 기대가 된다.

저자
Ba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815
잡지명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Reviews on Cancer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5~146
분석자
정*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