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 활동을 이용한 운전자 상태 파악

전문가 제언
○ 인간의 뇌는 참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활동도 다양하다. 대략 1014정도의 뉴런이 복잡하고 얽혀져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뇌의 움직임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MRI 및 fMRI이다. 그러나 자동차 운전 중인 운전자 뇌 활동 측정에는 장치의 규모가 커서 불가능다. 이를 대신하여 뇌혈류를 간이적으로 계측하는 장치인 NIRS(Near Infrared Spectroscopy)가 개발되었다.

○ 최근 뇌의 여러 가지 기능들이 연구되면서 인간의 사고과정이 외부에서 받아들인 자극에 대해서 뇌의 신경망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반응함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의 자극에 대해 뇌에서 1차 반응이 일어난 후에 연속된 여러 단계의 뇌신경망이 활성화되면서 고차의 인지과정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운전 중의 심리 상태를 뇌의 생리적 변화를 계측하여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운전지원 정보를 피드백해 주는 첨단 안전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다.

○ 운전은 시각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감각과, 손발, 손가락, 목, 눈 등 모든 운동계의 동작이 관여하는 작업이다. 사람 마음도 자동차에 있는 여러 가지 기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운전이라는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다. 경험과 연습을 중복하고 학습에 의한 상호작용의 형태가 변화해서 행위가 숙달되는 것이다. 소방관이나 조종사가 긴급사태에 적절한 행동이 자동적으로 되는 것은 일상적인 훈련의 제어과정을 통해 숙달되어 소뇌의 반응이 자동과정으로 되었기 때문이다.

○ 운전자와 자동차의 상호작용을 통한 안전운전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ITS 인프라의 발달과 더불어 첨단 지능화 되어가고 있다.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사고의 위험을 미리 예지하고 경고를 하고 그래도 안 될 때는 차를 자동적으로 멈추게도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자동차가 스스로 목적지까지 가는 자동운전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저자
Akihiro Yag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0
권(호)
64(10)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8~23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