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용접법의 특징과 문제점
- 전문가 제언
-
○ 이 해설논문은 용융 용접법의 대표적인 용접으로서 아크용접과 레이저용접에 대해 그 특징과 시공 중 발생하기 쉬운 용접 결함의 발생기구와 그 대책에 관하여 해설한 내용으로, 특히 일본의 중소기업청 주관 용접가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소개는 매우 의미 있는 내용이다.
○ 용접기술이 지향하는 목표는 에너지 절감, 로봇채용, 자동화 방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고, 용접결함을 억제하여 용접구조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용접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정밀한 형상의 구조물이나 기계를 제작하는 데 있다.
○ 기존의 아크용접 방법들은 최근의 IT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더욱 고도화 하였고, FSW, Laser-arc 하이브리드 용접 등 혁신적이고 새로운 프로세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 용접공정은 근본적으로 열접합 공정이기 때문에 용접부에 각종 균열, 기공, 슬래그 혼입, 용접부의 경화와 취화, 용접잔류응력과 변형 등 여러 가지 결함들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일본의 경우, 용접시공 중 용접기술자가 용접조건의 변동, 용접결함의 개선 등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을 때 해답을 줄 수 있는 용접가공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일본기술자들에게 한정 공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장기술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전문가시스템이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다.
○ 급속히 발전하는 다품종 다량생산화 추세나 급격히 다양화하는 요구에 충분히 대응하여 문제 해결의 답을 줄 수 있는 적응성과 유연성을 갖춘 전문가 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국내에서 개발되어 현장기술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 저자
- Naoki Se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62(4)
- 잡지명
- 機械の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9~406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