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말기 신장질병 환자의 저항성 칼슘형성증에 연관된 피부상처

전문가 제언
○ 저항성 칼슘형성증이란 피부 및 지방조직의 괴사 (세포사망)가 특징이다. 이는 주로 말기 신장질환 환자에서 나타난다. 이 질병은 가끔 석회성 요독성 소동맥증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이 질병은 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의 약 1%에서 발병한다. 치사율은 매우 높아 때로는 발병 수개월 내에 80%까지 이른다. 사망원인은 궤양의 2차 감염 및 패혈 때문이다.

○ 이 질병은 1962년에 Selye에 의하여 도전을 받는 피부가 초과민성 반응으로 칼슘을 축적하는 것으로 처음 기술되었다. 최근의 이 질병의 발병과정은 혈관에 인산칼슘의 형태로 칼슘과 인산염레벨이 높아져 용해되지 않는 상태로 이해하고 있다. 상항이 진전됨에 따라 혈관의 반응으로 허혈성 피부, 피하지방 및 근육의 괴사가 일어난다. 주로 다리에 많이 발생하며 남자보다는 여자에 많이 발병한다.

○ 이는 또한 일차 부갑상샘기능항진 때문에 발생하는데 부갑상샘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면 완전 회복된다. 또한 즉각적으로 빨리 자율적 부갑상샘 상처를 수술하여 제거하면 저항성 칼슘혈성 질병의 피부상처를 치료할 수 있다.

○ 저항성 칼슘형성증의 정확한 발병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여러 위험요인들이 있는데 여기에는 축적된 칼슘인산염 대사에 이상이 있다. 손상된 신장이 인산염을 적당히 분비하지 않아 혈액에 인산이 축적되고 이것이 칼슘과 결합한다. 신장 장애로 비타민 D 레벨이 감소하여 장에서 흡수가 감소된다. 뼈들이 갑상선샘 호르몬에 저항하여 갑상선샘이 커지고 더 많은 호르몬을 생산하여 혈액에 순환하는 칼슘양이 증가한다.

○ 만성신부전환자에서는 골연화증, 골경화증, 골다공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만성신부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골 질환을 통칭하여 신성골이영양증 (renal osteodystrophy) 이라고 한다. 비타민 D대사의 이상, 콜라겐생성 및 성숙의 이상, 산증의 발생, 뼈 속의 마그네슘농도의 증가 등이 골연화증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저자
sylvie Dusiloova, Marttin Vale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6
잡지명
Nutri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10~914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