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에너지이용 바이오매스 자원 평가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는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이용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석유 및 석탄과 같은 화석자원은 멀지 않은 장래에 고갈됨과 동시에 지구의 환경오염과 기후변화에 대한 원인으로 지목 받게 되어, 이를 대신할 에너지원으로 바이오매스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중국은 세계 최대의 농업국으로서 774백만 톤의 농산 잔류물이 발생하고 이의 에너지 잠재력은 14.7EJ이 된다. 산림 지역은 2008년 말 현재 정부의 지원으로 20.36%로 증가하였고, 이는 잔류물을 많이 발생하여 이의 에너지 생산은 3.9EJ이다. 도시쓰레기는 약 0.2EJ의 에너지를 만든다. LIHD(low-input high-diversity) 초본 바이오매스는 약 6.4EJ의 에너지를 만든다.

○ 중국의 연간 총 에너지 잠재량은 약 25.2EJ인데 이는 2008년의 중국 총 에너지 소비량 83.4EJ의 약 30.2%를 차지한다. LIHD의 초본 바이오매스의 잠재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전력의 22.6%를 얻을 수 있다.

○ 본고에서는 중국에서의 지속적인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분포와 양을 평가한다. 이의 평가 대상은 ①농산 잔류물, ②임산 잔류물 및 ③도시쓰레기에 대한 최근에 입수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였으며, 미활용의 저급토지인 LIHD 목초지 바이오매스에 대한 지역분포와 바이오매스 에너지 잠재력을 계산하였다.

○ 현재 우리나라 주에너지원인 화석에너지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2013년부터는 CO2감축 의무국이 예상되는 우리나라도 고유가에 대응하기 위한 화석연료 사용 억제는 물론 산업 전반에 걸친 CO2감축을 위해서도 바이오매스 등 신재생에너지자원 개발을 위한 실천가능한 과감한 정책수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Xinping Zhou, Fang Wang, Hongwei Hu, Lie Yang, Pengheng Guo, Bo Xia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5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1
분석자
손*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