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망 : 유전자조작 남조류에서 지방산-기초 바이오연료의 광합성 생산

전문가 제언
○ 바이오연료는 지속적, 경제적, 환경적으로 안전한 에너지자원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연료의 미생물합성이 성공하려면, 바이오연료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자원 플랫폼, 목표로 하는 이상적 연료분자의 바이오연료 타입, 에너지자원을 목표 바이오연료 분자로의 변형에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시스템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태양에너지와 이산화탄소의 지방산-기초 바이오연료로의 전환에 광합성 미생물(특히 남조류)의 이용 잠재력이 탐색되고 있다.

○ 지방산 과생산에서의 논증된 성공, 유전적으로 조작된 대장균에서 지방산에틸에스테르(FAEE)와 지방알코올의 새로운 생합성, 유전적으로 조작된 남조류에서 지방산생산 증가에 관한 연구, 유전적으로 조작된 남조류에서의 FAEE와 지방알코올 생산에서 유도된 연구에서의 예비실험 결과 등은 남조류에서 지방산-기초 바이오연료의 효율적인 광합성 생산이 유전자조작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 남조류에서 지방산-기초 바이오연료 생합성은 바이오연료로의 응용을 가속할 것으로 기대되는데, 즉 태양에너지 이용은 바이오매스 공급과 관련된 기술적 장애를 회피하고, 바이오연료는 단일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직접 만들어지고, 지방산에스테르, 긴 사슬 지방알코올, 지방알칸은 화학적으로 화석연료와 유사하여 현재의 엔진과 수송시스템에 더욱 적합하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남조류로 인한 담수호의 부영양화와 독소제거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었다. 화학적 산화제를 이용한 남조류 독소 마이크로시스틴 LR의 분해 및 정량, 남조류에서 신규 항진균 물질의 분리 등이 연구되었다. 반면 ‘담수에 서식하는 남조류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방법’이 특허로 등록되어 있다(강원대 산학협력단, 2009. 8. 18).

○ 최근 바닷물에서 리튬의 분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같이, 바다에 서식하는 남조류의 바이오연료로의 이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Xuefeng L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8(6)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42~746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