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유발성 루푸스에 관한 최신 정보
- 전문가 제언
-
○ 루푸스(lupus)는 처음에 파괴성 피부병변에 붙인 명칭으로 갑상선종에서 유래되었다. 이 증상은 본질적으로 만성이며 다소의 비대, 흡수, 궤양 등을 수반하는 국소변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증상에 따라 홍반성 루푸스(lupus erythematosus), 결핵성 루푸스(lupus tuberculosus) 등과 같은 특별한 명칭이 사용된다.
○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는 DNA 등의 핵산물질과 항DNA 자가항체의 immune complex가 DNA와 신사구체 기저막의 콜라겐과의 친화성에 의해 침착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전신성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이다. SLE는 다양한 장기를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사춘기 및 청춘기의 젊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 약물-유발성 루푸스(drug-induced lupus)는 SLE와 유사한 증상으로 각종 약물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유발된다. 이 증상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약물로서는 hydralazine, isoniszid, 각종 항경련제 및 procainamide 등이 잘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에 효?거으로 사용되고 있는 anti-TNF 제제와 같은 생물제제에 의한 lupus 발생도 다수 보고되어 있다.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는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림포카인의 일종으로 처음에 암세포 살해인자로 동정되어 "기적의 항암제"로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그 후 암 말기나 중증 감염증 환자의 체중 감소 등 쇠약의 원인이 되는 cachectin과 동일 물질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신중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Anti-TNF 제제는 루푸스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며 이 증상은 종래의 면역억제 화학약물 유발성 루푸스와는 그 특성이 크게 다르고 전통적인 SLE에 더 가까운 성질을 보인다. 이와 같은 특성은 관련 질병의 특이한 발병 기전의 규명과 함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저자
- Uriel Katz,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10
- 잡지명
- Autoimmunit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6~50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