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nti-Ro/SSA52 자가항체의 임상 및 검사시험에서의 특성

전문가 제언
○ 인체의 면역계는 자기(self)와 남(non-self)을 식별하는 자기관용성(self-tolerance) 기전을 갖고 있는데 이 기전이 깨어질 때 자기항원과 작용하는 자가항체 또는 자가반응 T-세포가 형성되어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한다. 질병의 2차 현상으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제외하고, 자가항체 또는 자가반응 T-세포가 질병 발현에 직접적으로 관련성을 나타내는 면역질환을 자가면역질환으로 정의한다.

○ 쇼그렌증후군(Sjogren‘s syndrome: SS)은 외분비선에 염증이 일어나 그 기능에 장해가 일어나는 자가면역성 교원병(collagen diseases)의 일종이다. 흔히 침샘과 눈물샘에 장해가 일어나 구강과 안구에 건조 증상이 야기된다. 염증 발생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지 않지만 다른 많은 교원병과 같이 자가면역반응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자가면역질환은 넓은 의미에서는 일종의 면역과민반응 중의 하나이다. 특히 많은 종류의 자가면역질환은 항원-항체가 만드는 면역복합체에 의해 나타나는 제3형 과민증으로 분류된다. 면역복합체는 일반적으로는 단핵탐식세포계(mononuclear phagocyte system)에 의해 제거된다. 이 과정에 문제가 생겨 면역복합체가 제거되지 않고 조직과 장기에 침착되어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다양한 종류의 자가항체가 자가면역질환에서 검출된다. 어떤 종류의 자가항체는 여러 가지 질환에서 발견되며 또 특정의 자가면역질환에서만 특이하게 검출되는 자가항체도 일부 알려져 있다. Anti-Ro/SSA52 항체는 처음에 전신홍반성 루푸스(SLE)와 쇼그렌증후군(SS)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원래 Ro는 SLE 환자 이름에서 SS는 쇼그렌증후군 질병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 Anti-Ro/SSA52 항체는 쇼그렌증후군(63.2%)과 SLE(53%)에서 특히 높은 비율로 검출되지만 자가면역성 간질환과 류마티스성 질환 및 신생아 심장 질환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 항체는 관련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후에 특별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Caterina Defendent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0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50~154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