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폐기물 관리활동과 탄소배출
- 전문가 제언
-
○ 지구온난화는 현대 인류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국한된 나라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범지구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며, 나아가 인류의 생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즉, 이 과제는 세계인들이 모두 함께 풀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각국 나라들의 이해관계와 맞물려서 지구온난화 문제는 그 중요성만큼 제대로 된 대책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 폐기물은 일반적 개념으로는 쓰레기라고도 하지만 '폐기물관리법'에서의 정의와 대비해서 일반인의 통념에서 보면 버리는 것은 모두 폐기물이라고 볼 수 있다.
○ 폐기물 분야에서 발생하는 주요 온실가스로는 매립의 메탄가스, 오수처리의 메탄가스와 아산화질소, 소각의 이산화탄소가 있으며, 폐기물의 비료 이용과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매우 적다. 지구전체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산화탄소로 환산하여 490억 톤(2004) 정도이다. 폐기물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14억 톤(2004)이며 지구전체 배출량의 2.8% 수준이다. 지구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메탄가스는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
○ 폐기물 관리의 선진화 및 과학화를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보화가 필수적이다. 그린 패러다임이 원천 및 요소기술 중점인 것에 이견은 없으나 인지도가 낮은 응용기술로서 정보 획득기술 및 통계기술에 대한 인식변화와 아울러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근본적으로 개선된 폐기물전략은 폐기물의 환경영향을 근본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 온실가스 배출통제를 목적으로 폐기물에 대한 거래금액 상한제 및 탄소세 신설에 있어서 아프리카 국가들은 재정적인 여유가 없기 때문에 선진국에서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이 계획 기본적인 폐기물관리제도에서는 아직 미흡하고, 탄소배출감소는 개발도상국에 적합하지 않다.
- 저자
- R. Couth, C. Tro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1
- 권(호)
- 31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1~137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