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튀김유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

전문가 제언
○ 석유자원의 고갈 및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문제가 부각되면서 최근 친환경 대체연료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바이오 디젤의 특성은 높은 발화점, 좋은 윤활성 및 독성이 없다. 또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연소과정에서 독성이나 유해 배출물이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로 각광을 받고 있다.

○ 급격한 유가의 상승과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는 교토협약의 발효 등으로 이미 선진국에서는 수송용 바이오연료의 보급이 확대되어 왔다. 바이오연료에는 메탄올,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바이오가스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이 대표적인 수송용 연료로 상업화되고 있다.

○ 바이오디젤은 주로 식물성 오일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디젤엔진의 대체연료로서 석유소비의 대체가 가능할 뿐 아니라 탄화수소, 황 등의 오염물질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친 환경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향후의 바이오 디젤에 대한 기술개발은 바이오 디젤의 생산 효율이 이미 높은 수준에 도달했기 때문에 변환과정과 수율의 개선보다는 작물의 재배과정과 유전공학을 적용하여 작물의 오일 함량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우리나라도 경유에 의한 대기환경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경유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청정대체연료의 확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내에서는 매년 20여만 톤의 폐식용유가 배출되고 있으며 일부는 사료 또는 화학원료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상당부분은 마땅한 수요처가 없어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다. 교토의정서에서도 바이오연료는 온실가스의 배출규제에서 제외된다는 관점에서도 바이오연료 생산기술의 개발로 국내에서 폐기물을 이용한 대체연료 생산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저자
Trupti W. Charpe, Virendra K. Ratho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1
권(호)
31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5~90
분석자
조*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