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알맞는 CO2포집기술의 예상옵션
- 전문가 제언
-
○ 인구 증가와 산업화에 따라 에너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화석연료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기 중의 CO2 농도도 급증하고 있다. 많은 과학자들은 대기 중의 CO2 농도의 증가는 지구환경에 악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 이산화탄소의 포집은 지구온난화 문제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고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기술적, 경제적으로 확실한 방법은 아직도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다. CO2 포집은 비용 및 에너지 집약적이다. IPCC에 의하면, 아민-기반의 연소-후 흡수 CO2 포획기술을 천연가스 복합 화력발전에 적용하면 약 8%의 에너지 손실과 CO2 기반시설을 제외하더라도 두 배의 투자비가 소요되며 또한 운전보수비와 관련된 전력요금(COE; Cost of electricity)을 40%나 증가시킨다고 한다.
○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최근 몇 년 사이에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중국은 연간 석탄 생산량은 25.5억 톤으로서 미국 다음으로 세계 최대 석탄 생산 및 소비 국가이다. 발전용으로 연간 약 12억 톤의 석탄을 사용한다. 중국의 CO2 배출량의 82%는 석탄 연소에 기인한다. 더욱이 전력소비 증가에 따른 CO2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어 온실가스를 줄여야 하는 국제적인 압력이 가중되고 있다.
○ 중국은 자원이 풍부한 서부지역과 경제가 성장한 동부지역으로 크게 분류되며, 에너지 산업은 에너지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상류와 에너지 사용하는 하류로 분리된다. 에너지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친환경에너지 네트워크는 중국의 산업개발에서 주의 깊게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 다세대(polygeneration)시스템 개발은 동시에 CO2회수를 갖는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과 이용이 가능함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좋은 시스템으로 판단된다. 또한 에너지이용 효율성이 증가하며 인구 조밀지역의 오염물질 방출을 피할 수 있다.
- 저자
- Hongguang Jin, Lin Gao, Wei Han, Hui Ho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499~4506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