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화된 탄소 나노튜브를 기반으로 하는 고분자 나노복합재료

전문가 제언
○ 1991년 Iinima에 의해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 이래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어 열가소성, 열경화성수지, 액정 고분자수용성고분자, 공액 고분자 등 고기능성 고분자 복합재료의 충전제로 사용하기 위한 시도와 이들 나노복합재료를 나노전자와 광전디바이스, 고전기 전도체, 전기화학적인 엑추에이터, 전기화학적 커패시터, 나노와이어와 고분자 나노복합재료용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 탄소나노튜브에는 단일벽, 2중벽과 다중벽의 나노튜브가 있는데 단일벽과 2중벽 탄소나노튜브는 둥글게 말린 그라펜 시트가 한 개의 실린더또는 두 개의 동심 실린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여러 개의 동심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아크방전, 레이저 어블레이션, 고압 일산화탄소, 화학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합성된다.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열적 그리고 자성적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의 물성은 나노튜브의 직경, 키랄성과 벽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 탄소나노튜브는 반 데어 바알스 힘에 의하여 회합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는데 이로부터 고기능성 복합재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이들 회합체를 분산시키고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서 이들을 평행하게 배열해야 하며 또 복합재료의 계면에서 충전제인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 매트릭스 간에 강력한 상호작용이 있어야 가해진 하중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물성의 향상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의 회합을 파괴하고 분산시키기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기능화가 필요하다.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은 탄소나노튜브의 각종 용매에 대한 친화력과 함께 복합재료 계면에서 두 성분의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깊다.

○ 본고에서는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기능화와 이로부터 나노복합재료의 구축, 얻어진 나노복합재료의 물성 등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를 소개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에 종사하는 이 분야 연구자에게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저자
Nanda Gopal Saho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35(7)
잡지명
Progress in Polym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37~867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