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를 위한 방법과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항암제 치료법의 향상에 의해 암 치료제는 급속한 진보를 거듭해 왔다. 그러나 암의 약물응답성의 저하, 즉 약제내성의 문제는 완전치유를 곤란하게 하는 임상적으로 최대 문제로 되어 있다. 항암제가 작용하는 대사경로는 암세포에 특이한 것이 아니고 정상세포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암세포의 선택적 독성에 임상적으로 화학요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therapeutic index가 클수록 정상조직에 대한 독성은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항암제 개발이 가능하다.
○ 가장 심각한 암의 증상은 종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이성으로 변하는데 있다. 예를 들어 전이성 흑색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치명적인 암이며 사망률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점점 증가되고 있다. 불행히도 오늘날 쓰이고 있는 화학요법제는 대부분 환자의 수명을 늘리거나 개선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아 전이성 흑색종에 효과적이고 무독성인 약물을 개발하고자 하는 추세이다.
○ 최근 연구에 의하면 구조적으로 마이크로튜블을 표적으로 하는 가능성 있는 항암작용이 전망되면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된 MF의 고도로 공격적인 전이성 Cloudman S-91 마우스 흑색종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결과 놀랍게도 악성세포의 표현형이 소실되고 정상표현형이 재생됨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MF는 전이성 흑색종에 무독성 약물로서 임상적 활용가치가 있음을 인지하였다.
○ 화학요법은 암을 치료하는 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이들 기존의 항암제들은 주로 암세포를 타깃으로 하여 개발되었기에 선택성의결여로 인한 신장, 심장, 골수 등에 심각한 부작용과 내성세포의 출현으로 항암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새로이 발견된항암성 MF는 무엇보다 정상세포에 악영향이 없고 암세포에만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하며 더욱이 MF 자체의 인체에 대한 무독성은 이 약물의 안전성에서 신약 후보로 가능성이 있음을 전망할 수 있다
- 저자
- CARON, Joan, M.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14195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4
- 분석자
- 신*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