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마트그리드 시대를 지향한 배전계통의 운용 최적화 기술

전문가 제언
○ 근래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재생가능에너지의 도입이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기상조건에 따라 변동하는 자연에너지 전원을 대량으로 도입하는 스마트그리드 계통에서도 계통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발전출력의 변동에 의한 영향으로 계통 내에 수급불균형의 발생이 예상된다. 따라서 전력수급 균형을 위한 수급제어를 기간계통과 협조할 필요가 있다.

○ 최근 스마트그리드를 지향한 전력공급의 신뢰성 향상 및 계통운용의 고도화를 위한 감시제어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일본 Toshiba에서는 수리최적화 기술을 적용하여 복잡한 배전계통의 운용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고에서는 배전계통의 운용에서 전압, 부하관리 문제 및 전력손실 최소화 문제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스마트그리드는 배전관리 및 전력수급 관리 등 IT기술을 활용한 전력네트워크 제어, 분산형 전원도입에의 대응, 수용가 측의 다양한 에너지 이용기술 등 기술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요소를 상호 연계하여 고효율, 고품질, 고신뢰도의 전력공급을 실현하는 것이다.

○ 최근에는 스마트그리드의 다양한 분산전원과 축전지 등의 효율적인 연계로 공급신뢰도의 향상과 계통운용의 고도화를 위한 에너지관리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식경제부는 2010년 1월에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구축하기 위하여 2030년까지 27조 원을 투자하여 기술개발을 지원한다는 국가로드맵을 수립하였다.

○ 분산형 재생에너지 전원은 주로 배전계통이나 수용가를 중심으로 도입이 예상되므로 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한 출력변동의 영향은 가급적 수용가 근처 혹은 배전계통에서 흡수하도록 하여 기간계통과 배전계통에서 관리 운용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전계통의 전압, 부하관리 문제 등을 조정할 수 있는 운용기술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MURAI Masahik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65(11)
잡지명
東芝レビュ-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11~15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