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일본 화학물질 관리의 현황과 과제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 OECD 가입을 계기로 화학물질 관리의 선진화를 위해서 유해화학물질관리를 전담하는 조직을 증설하고 유해화학물질관리법을 개정해서 국제적인 추세에 적극 발맞춰 나가고 있다.

○ 화학물질관리정책은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정보의 생산과 수집, 화학물질의 위해성 평가, 그리고 환경과 사고 위해성 평가관리가 주된 방향으로 되어 있다.

○ 이를 위해서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해양환경관리법, 농약관리법,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등의 제정과 개정을 거쳐서 국립환경과학원 산하에 화학물질안전관리센터를 두어서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다.

○ 화학물질 정보는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위험물 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각각 지정하고 있으며 물질별로 물질특성정보, 사고위험정보, 안전-특수 대응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분석물은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또한 2009년엔 화학물질관리 선진화 계획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특정 기존 화학물질의 유해성 자료 및 노출관련 정보를 제출토록 의무화해서 2012년 이후엔 국제동향이나 국내 기업여건을 보아서 100톤 이상 제조, 수입하는 약 2,000종에 대해 적용 예정하는 등 화학물질의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 그러나 아직도 신규 화학물질 특히 나노 크기의 초미세 물질에 대해서는 국내외 연구가 미흡하여 안전성 확립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국제적인 교류와 국내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하겠다.
저자
Takahiro Mukaide and Hidekuni Inade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52(4)
잡지명
産業衛生學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57~171
분석자
차*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