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roteasome에 의한 단백질분해 통제

전문가 제언
○ 단백질분해의 수명은 인간의 Genome에서 약 1,000종류가 Code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Ubiquitin Ligase의 다양성이 주로 수명을 결정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Ubiquitin System의 발견으로 인하여 진핵세포에서 ATP의존적으로 Ubiquitin화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 즉, Protease로서 발견된 것이 Proteasome인 것이다.

○ Proteasome은 Ubiquitin화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ase로서 알려져 있다. 단백질의 운명은 기질을 식별하는 Ubiquitin Ligase에 달려있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대부분의 단백질이 Ubiquitin 의존적인 경로뿐만 아니라 Ubiquitin 비의존적인 경로에 의해서도 분해되고 있다.

○ 더욱이 Proteasome에는 교묘한 장치가 갖춰져 있으며 기질단백질이 가진 고유의 성질과 Ubiquitin쇄의 편집으로 인하여 분해를 조절하고 있다는 것이며 Proteasome이 어떠한 상황으로 기질단백질을 인식하고 분해하고 있는 가에 대한 지견이 최근에 점차로 알려지고 있다.

○ 그렇기는 하나 기질 단백질의 수명은 결코 Ubiquitin Ligase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백질 고유의 성질, 상호작용 등이 관계하고 있는 Partner라든가 또는 Proteasome상에서 일어나는 Ubiquitin쇄의 신장이나 단축반응 등도 관계하고 있으며 Default분해 등의 여러 요인도 균형이 맞게 조절됨으로서 기질단백질의 수명이 결정을 보게 된다.

○ Ubiquitin 및 Proteasome System으로 인하여 기질단백질의 분해로 인한 이상은 암 종양이나 신경변성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 질환과 상호적으로 관련하고 있음으로서 이에 관한 기질특이성이 높은 Ubiquitin Ligase를 표적으로 한 새로운 ?음 형 약품 개발에 경쟁적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음으로 우리의 연구진 참여를 권유한다.
저자
Shigeo Mur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9(12)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216~1221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