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일렉트로닉스의 현황
- 전문가 제언
-
○ 근래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건강관리(Health Care) 서비스의 수요 급증으로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 사회적인 부담이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제까지 고령자의 건강관리는 장수가 목적이었으나 향후에는 고령자의 삶의 질도 고려한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 최근 많은 전자기기 제조업체는 건강관리 시장을 지향한 상품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제까지는 건강관리 기기의 개발은 기업에서 독자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휴대형 PC의 고성능화와 네트워크 환경의 진전으로 재택의료가 현실화되고 있으며, 각 기업은 표준화, 규격화를 도모한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건강관리에 관련된 건강 일렉트로닉스 분야의 현황에 대하여 해설하였다.
○ 고령인구의 증가와 생활양식의 변화로 최근 사회 전반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u-Healthcare 서비스의 요구도 증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6년부터 u-Healthcare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적인 헬스 케어 시장규모는 2005년에 38,340억 달러에서 2015년에는 52,932억 달러로 급성장이 예상된다.
○ 세계적으로 고령인구는 증가추세이며,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자의 수는 2008년 501만 명이었으나 2010년 535만 명, 2011년에는 553만 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노인부부의 세대수는 2010년 58%에서 2030년에는 66%로 증가가 예상된다. 한편 전체 고령자 중 독거노인의 비율은 2008년 18.6%에서 2010년에는 19.1%로 증가되었다.
○ 앞으로 고령자의 복지문제와 건강관리를 위한 질병의 예방, 치료 등을 종합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초고속 통신망을 활용한 영상데이터의 전송, 판독 및 관련 의료기기 개발과 재택 건강관리의 요구가 예상된다. 향후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고령자의 건강관리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Hidenori NAGAI, Yasukazu YOSHID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11)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974~978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