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 이용에 대한 고찰

전문가 제언
○ 열역학의 제1법칙에 의해 에너지의 양은 보존되나 제2법칙에 의해 에너지의 질은 보존되지 않는다. 즉 에너지는 변환과정에서의 효율 저하에 따라 계속 이용시 결국은 열로서 소진된다. 따라서 가장 원시형태이며 지구의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유일한 에너지인 태양광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다.

○ 태양에너지 이용법은 열로의 변환과 태양광 발전 및 태양전지의 3가지가 있다. 2009년도 전 세계 태양광 발전량은 10660㎿로서 2008년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중국과 EU의 부상에 따라 일본은 1999년부터 계속된 세계 제1의 생산국 자리를 2006년 내주었다. 반도체의 광전효과에 의해 태양광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는 지구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간기술이다. 최근 수년간 일본, EU 등은 정부 차원의 시책 도입에 따라 저가격화가 시도되고 있다. 미국도 정권교체를 계기로 대규모의 그린 뉴딜 계획을 도입했다.

○ 지식경제부(2011.2.14)에 의하면 2007년 대비 2010년 태양광산업은 업체수는 3.2배, 고용인원은 7.4배 성장했다. 이들 성과는 1988년부터 대체에너지기술개발촉진법에 따라 정부 차원의 투자를 통해 태양전지 제조기술개발 및 시스템 이용기술개발을 병행한 결과이다. 1단계(2003~2006)는 보급 촉진형 기술개발을 목표로 주택보급형 3kW급 시스템, 상업용 10kW급 시스템의 개발 등에 주력했다. 2단계(2006-2009)는 대량보급형 기술개발을 목표로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의 기술개발 등에 주력했다. 현재(2009-2012)는 저가상품화 기술개발을 목표로 결정질 초박형 태양전지의 상용화 기술개발 등에 주력하고 있다.

○ 국제수준의 규제 강화 및 화석에너지 고갈에 따른 유가 급등 등 대체에너지 개발은 향후 개별 국가 및 세계 경제의 핵심키워드이다. 그렇다면 지구라는 폐쇄계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일한 에너지인 태양광은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때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안이다. 한편 태양광 발전기술의 당면 과제는 발전비용을 낮추는 것이며 발전 시스템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보급시책도 필요하다.
저자
Toshinori KOJ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75(1)
잡지명
化學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6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