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와 방충제에 있어서 향료소재의 부가가치
- 전문가 제언
-
○ 국내 농약시장 규모는 2008년도 농약생산량은 25,368M/T로 11,516억 원이고 전년에 비해 4.6%의 증가를 보였으며 살충제는 9,960M/T로 전년에 비해 14% 증가되었으며 수입량은 44,336만 불로 일본, 독일, 미국 등이 주 수입국이며 수출은 2,759만 불로 이탈리아, 대만, 태국 등이고 농약원제는 수입이 35,627만 불이며 국내 합성원제는 4,237만 불로 수입의존도가 89.4%로 심화되고 있다.
○ 살충효과를 내는 것에는 담배 잎에서 추출한 바이오-오일을 이용한 감자갑충에 대한 것이나 콩이나 땅콩종류에 많이 함유된 키틴 결합단백질인 글로불린 단백질이 바구미 유충의 장에 존재하는 키틴에 결합하여 소화되지 않게 하여 죽게 하므로 곡류 등의 중요작물에 살충유전자단백질을 삽입함으로서 식물 스스로 살충제를 생산할 수 있게 해주는 연구도 필요하다
○ 우리의 생활환경과 위생환경이 풍요롭게 개선되어 주택의 기밀성이 높아져 사람과 곤충과의 접촉 기회가 격감되어 곤충을 혐오하거나 싫어하는 소비자 요구가 높아져 최근 살충제 시장은 기피제라는 예방목적으로 천연허브와 향료성분에 의한 기피효과를 구사한 방충과 소취방향의 기능성 제품이 등장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다.
○ 식품과 식재료를 먹는 식품해충과 의류를 먹는 의류해충, 가옥의 목재를 먹는 흰개미 등의 가옥해충이 있으며 인체와 재산에 대한 해가 없고 오히려 해충을 포식하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천적해충의 이용이 친환경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 과거 살충의 관점은 수량 및 품질향상의 목적으로 맹독성 살충, 살균 및 제초에 포커스를 맞추었으나 잔류독성이 인체와 자연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으로 자연친화적인 천연식물 및 추출오일 등을 소재로 한 살충 및 방충효과를 낼 수 있는 허브식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hinya Hashi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47
- 잡지명
- 香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3~82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