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빌딩용 멀티에어컨의 냉매누설 검지시스템

전문가 제언
○ 대부분의 냉동 · 공조기기 냉매로 사용하는 HFC는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로 추정되는 온실가스의 하나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냉동 · 공조기기 분야에서는 HFC 냉매배출 감축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냉매는 기기의 제조, 사용, 폐기 단계에서 배출되지만 상대적으로 배출감축 활동이 어려운 사용 단계에서 배출량 감축이 더욱 중요시 된다.

○ 이에 따라 일본 Daikin공업 등 국내외의 주요 냉동?공조기기 제조사는 각종 냉동?공조기기의 원격관리서비스 내에 가스누설에 의한 불량상태를 검지하는 기능을 개발해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한 냉매누설검지는 주로 냉매누설이 상당히 진행된 시점에서 이뤄진다. 따라서 효과적인 냉매배출 감축을 위해서는 누적 냉매 누설량이 적은 초기단계에서 누설검지가 가능한 원격검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각 제조사는 이런 요구에 맞춰 고감도로 냉매누설을 검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냉매누설 검지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격감시로 냉매량 변화를 감시해 냉매누설을 검지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따라서 외기온도나 압축기회전수 변화, 냉매의 열화 및 이물질 혼입 등의 다른 요인에 의해 냉매량이 변화한 경우에도 냉매누설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미량의 냉매누설이 탐지 가능한 고감도 냉매누설 탐지장치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냉매배출 감축은 전 세계적인 지구환경보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냉매누설에 의한 기기 내의 냉매량 감소는 기기 용량 및 효율 저하 등 기기 성능을 떨어뜨려 에너지를 낭비한다. 따라서 냉동?공조기기용 원격관리시스템은 냉매누설 검지?경보 기능과 함께 기기의 성능유지를 통한 에너지낭비 방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 원격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술개발 및 적용 확대가 요구된다.


저자
Manabu YOSHIM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85(997)
잡지명
冷凍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885~889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