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약 측정을 위한 결과평가 기기- 체계적인 검토
- 전문가 제언
-
○ 쇠약(Frailty)은 인간의 기능(물리적, 심리적 및 사회적) 중 하나 이상의 영역이 손실되는 것으로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인 상태이다. 쇠약은 변수 범위에 따라 영향을 받고 불리한 결과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인구 고령화에 직면한 사회에서 쇠약은 의료 전문가에게 가장 큰 도전 중 하나이다. 그것은 불리한 건강 결과, 의존성, 시설화(수용화) 및 사망률과 연관된다. 쇠약한 노인 집단이 여전히 증가하고 있고 이 집단 중에서 의료 이용이 증대하고 있기 때문에 쇠약의 예방 또는 쇠약 수준의 유지/감소는 노인 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 우선이 되어야 한다.
○ 쇠약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으로선 쇠약의 수준이 중재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정확한 임상계량학 특성을 갖는 쇠약을 측정하기 위하여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하다. 이 체계적인 검토의 목적은 임상 상황과 관찰/실험 연구에서 쇠약에 대한 결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기를 찾는 것이다.
○ 이 재검토는 주어진 모든 쇠약 기기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개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에 바탕을 두어 많은 쇠약 기기는 최근 몇 년 동안 개발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기기는 평가적 결과 측정의 목적보다는 예후 목적 기기로 종종 개발되었다. 지금으로서는 Frailty Index가 쇠약 연구에서 평가적 결과 측정으로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기기로 보인다. 그러나 결과 평가 기기로서 이들 측정기의 임상계량학 특성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 따라서 앞으로 Frailty Index와 다른 지수들의 임상계량학 특성을 훨씬 더 광범위하게 탐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고 필적할만한 결론을 더 쉽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쇠약 연구에서 더 많은 일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N.M. de Vrie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1
- 권(호)
- 10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04~114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