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위 1000대 기업의 에너지감소 도전
- 전문가 제언
-
○ 중국은 최근에 GDP와 에너지사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원래, 2006년부터 시작하는 1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서는 이 기간 동안에 에너지소비를 GDP대비 20%감소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하고 추진하였다. 이론적으로는 이 기간의 GDP성장률목표를 7.5%로 정하였기 때문에 에너지사용증가율은 이를 감안하여 2.8%로 목표를 정한 것이다.
○ 에너지안보와 기후변화대응 및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급증하는 에너지수요와 같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 에너지기술혁명은 필수적으로 이것은 2008년 에너지기술전망(ETP)의 핵심적인 메시지였다. 그러나 이러한 근본적인 변화가 실제로 일어났으며, 핵심기술은 무엇이고, 이로 인한 비용과 편익은 무엇이며, 과연 어떤 정책이 필요했는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이러한 차원에서 중국의 20%에너지감소목표의 핵심적인 실현은 에너지강도가 큰 상위 1000대기업을 선정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에너지절약목표달성을 위해 감독과 관리 및 모니터링을 총체적으로 진행하는데 적극 협력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이 프로그램이 성급하게 설계되고 시행되어 다소 미흡한 점이 있지만 2010년 GDP대비 10%이상의 에너지절약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여한 공적은 높이 살만한 것이다.
○ 2000년 이후 기후변화의 위협은 전 산업에 미치고 있다. 지난 수 년 동안 IEA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저탄소기술보급을 강조하고 있고 2010년 ETP에서도 저탄소미래가 에너지안보를 증진시키고 경제발전을 이루는 강력한 수단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우리나라도 얼마 전에 G20회의를 성공적으로 주최하고 OECD개발원조위원회에 베푸는 국가로 등록한데 이어서 범지구적 환경재앙해결에 선도적 역할을 자임함으로서 국제사회의 중심국가로 발돋움하고 있다. 저탄소녹색환경이라는 거대한 물결은 피할 수 없으며 오히려 선도자가 되어 새롭게 펼쳐지는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살 길이다.
- 저자
- Lynn Price etc.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8(11)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6485~6498
- 분석자
- 한*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