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늘의 향기성분 전구체
- 전문가 제언
-
○ 마늘은 기원전 고대 이집트, 그리스 및 로마시대부터 재배되었으며 우리나라는 단군신화에 마늘이 등장하고 삼국사기에 `立秋後亥日?園祭後農`이 있음과 동의보감에 의하면 大?, 小?, 野?으로 분류되며 조선농회보에 여러 쪽 소행마늘과 6대쪽마늘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산지는 고흥, 신안, 서귀포, 창녕 등이다.
○ 마늘 주요생산국은 중국을 위시하여 인도, 미국, 인도네시아 등이며 우리나라는 2010년 기준으로 22천ha의 면적과 271천 톤의 생산량을 갖는다. 전년에 비해 15%의 면적감소와 24%의 생산량감소로 수입량이 전년에 비해 50% 증가한 64천 톤이며, 외화사용이 1억불로 82%나 증가해 수입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반면 국내생산량은 감소추세에 있다.
○ 마늘은 독특한 맛과 냄새로 양념조리용으로 이용되고 풋마늘과 같이 생식용으로 이용된다. 또한 건조 분말화하여 인스탄트 식품의 스프로 이용되며 마늘정유는 아로나민 등의 약제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식품가치로는 파나 양파에 비해 열량이 높고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외에 철분, thiamine, riboflavin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이한 냄새를 내는 alliin 성분 및 냄새가 없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scordinine은 항균작용 및 강장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마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은 일반인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마늘의 항산화작용 및 항암작용에 대한 효능입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한식의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강해지고 있으며 좀 더 과학화된 기능성연구가 이루어져 우리 전통식품에 대한 부가가치를 업그레이드 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자연에서 효과적인 항균작용의 메커니즘의 밑바탕에는 allicin이라는 물질이 있고 그 사실은 장래 항균뿐이 아니고 의학 분야에서 여러 가지 응용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해준다. 앞으로 마늘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기를 기대한다.
- 저자
- Hiroyuki Fujis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47
- 잡지명
- 香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91~99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