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연령은 말초신경 손상 다음 신경근의 연접에서 세포의 상반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전문가 제언
○ 고령 동물의 말초신경계 손상 다음 근육 신경재분포 동안 신경근접합부(종말 슈반세포), 축삭종말과 아세틸콜린 수용체 부위의 개별 구성 요소에서 손상 또는 조각형성의 증가가 발생한다. 말초신경계 손상 후 이차적으로 축삭의 비정상적인 프로필을 제거하는 능력이 아니라 초종말 발아 또는 다중 신경분포를 생산하는 능력은 유지된다.

○ 고령 동물의 종말 슈반세포와 축삭종말에 의한 연접 부위의 재점령에 대한 빈도와 정확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신경과정의 확장능력에도 불구하고, 재생하는 신경 섬유가 성장, 성숙 및 연접이후 정확한 근섬유 덧붙이의 속도가 손상된다. 그 결과 신경근접합부에서 정상의 단일 운동신경분포의 복구를 실패한다.

○ 신경근접합부에서 세포 상호작용의 복잡한 조합은 신경영양인자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영양인자는 재생하고 발아하는 축삭의 성장을 지원하고 신경영양인자의 길잡이는 표적 근섬유에게 향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α-운동 신경세포의 능력이외에 종말 슈반세포와 근육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노화하는 동안 손상될지도 모른다.

○ 앞으로의 연구는 생체 내에서 고령 근육의 탈신경과 신경재분포 동안 영양인자와 그들 수용체의 활동에서 종말 판 구성요소의 역할을 구명하여야 한다. 또한 노화 동안 이러한 반응을 조절하는 분자와 세포의 신호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밝혀야 한다. 고령의 근육과 신경이 제거된 고령의 근육에서 신경근접합부의 신경생물학적 역할과 신경영양인자의 가용성이 완전히 이해되어야 한다.

○ 신경근접합부는 근육 섬유에 의해 형성된 신경 종말과 연접이후의 장치 사이에서 정밀한 정렬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반적 상호작용이 노화 동안 재생 신경 섬유가 성장하고, 확대하고 연접이후 근육섬유를 덧붙이는 속도를 얼마나 손상시키는가를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저자
Masaru Kawabuch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1
권(호)
10
잡지명
Ageing Research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3~53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