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의 가축분뇨를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생산 잠재력과 향후 전망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부터 농촌지역의 취사용 연탄을 대체하기 위해 축산폐기물로부터의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는 소형 메탄 발효장치를 보급하였다. 그 후에 급속한 산업화로 메탄가스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규모의 혐기성 발효장치를 설계 건설하였으며 상업화가 이루어졌다. 메탄가스 생산기술로는 2단 발효법과 담체 충진형 UASB 반응기시스템 기술이 보급되면서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할 수 있다.
○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은 크게 비 재생에너지원과 재생에너지원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이 풍부한 개발도상국들은 바이오매스를 직접 이용하거나 에너지전환을 할 수 있는 설비기술 개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 특히 혐기성 소화와 같은 미생물적인 공정은 1970년대의 세계적인 석유파동 이후부터 크게 주목을 받아 왔다.
○ 혐기성 소화는 복합적이고 자연적이면서 또한 미생물기구의 복합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중간체를 거치면서 유기혼합물을 소화하여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전환시키는 과정이다. 박테리아의 상호 의존은 혐기성 소화의 주 역할이 되며 1단계에서 유기물 속의 휘발성 고형분이 산 형성 박테리아에 의해 지방산으로 전환되고 2단계에서 그러한 산이 메탄 형성 박테리아에 의해 바이오가스로 전환된다.
○ 또한 혐기성 소화는 유기물질을 혐기성 조건에서 메탄으로 분해하는 생물학적 공정이며 메탄은 화석연료 대체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대장균과 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에 필요한 토지를 적게 사용하는 이점도 있다.
○ 이 자료는 포르투갈을 대상으로 하여 농가의 가축분뇨로부터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잠재력을 검토하고 있으며 바이오가스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사항들을 도출하고 있다.
- 저자
- Eliseu Monteiro,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1
- 권(호)
- 36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627~631
- 분석자
- 홍*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