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 주조부품의 용접기술
- 전문가 제언
-
○ 알루미늄 합금은 전신재와 주조재로 제조된다. 알루미늄 주조재는 우수한 주조특성과 인공시효 과정을 통해 재료의 기계적 성질이 개선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송기기용 경량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 주물 및 다이케스팅용 알루미늄 합금은 AlSi 2원계 합금을 기본으로 Cu, Mg, Ni 등이 소량으로 첨가되어 있으며, 용탕의 유동성, 주형 충진성 등이 우수하다.
○ 그러나 알루미늄 주조재는 주조 작업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한 기공, 용접시 아크가 불안정한 경우 용착비드가 불균일하고 언터컷과 패임 등의 용접결함 등에 의해 용접금속과 용접열영향부의 기계적 특성이 열화되므로 이러한 용접결함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중요하다.
○ 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주조재를 마찰교반접합하면 주조재에 존재하던 미세주조결함들이 교반영역에서 크게 감소하고 결함이 분산됨으로써 건전한 접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툴의 교반작용에 의해 용접금속의 결정립이 미세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급속응고분말야금(rapid solidification powder metallurgy) 공법으로 제조되는 용접용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분무법(atomization) 기술에 의해 분말산화 및 수화(hydration)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주조재나 일반 분말야금재에 비해 기공이 없는 용접부를 얻을 수 있다. 향후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경쟁력을 갖춘 연구개발과 기술정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급속응고분말야금의 균질화처리 온도와 재결정온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면 미세한 결정립을 생성하고 기공발생을 극소화함으로써 용접시 고온균열 감수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 저자
- Yoshitsugu Hiraguc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48(10)
- 잡지명
- 輕金屬溶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1~386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