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의 적외선 센서 응용기술
- 전문가 제언
-
○ 상용 빌딩이나 주택 냉난방을 위한 각종 공조기기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는 국가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상당한 부분을 점유한다. 한편 대표적 공조기기인 에어컨은 소득 향상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편리하고 청청 난방이 가능한 히트펌프의 도입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적인 에너지절약 차원에서 에어컨 분야에서의 절전은 필수적이다. 특히 에어컨은 사용 방법에 따라 전력 낭비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사용법 사용도 매우 중요하다.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중반부터 에어컨 제조회사를 중심으로 대학과 연구소에서는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다양한 기술개발과제가 진행됐다. 특히 전력소비가 많은 압축기의 효율개선을 비롯하여 열교환 핀 설계를 통한 열교환기 효율화, 고효율 팬 등 요소부품들에 대한 효율개선이 진행됐다. 이 결과 대폭적인 에너지효율이 향상된 제품이 시장에 도입할 수 있었다.
○ 반면 쾌적성 향상과 절전이 가능한 재실자의 위치, 재실여부, 인체 활동량에 대한 운전 제어기술에 있어서는 일부 적용은 되었지만 미흡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와 퍼지 뉴럴 네트워크(fuzzy neural network) 등 제어기술이 일부 제품에 적용되고 있지만 뚜렷한 기능 홍보가 어렵고 제품가가 올라가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효율적인 에어컨 사용법에 대한 안내기능은 제품화 사례를 찾기 어려운 수준이다.
○ 향후, 지구온난화방지를 위한 에너지절약은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하므로 각종 냉동?공조기기에 대한 고효율화는 필수과제가 된다. 특히 에어컨 분야에서는 기기 효율화와 더불어 저렴한 센서 및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재실 상태와 실내 환경을 보다 정밀하게 감지한 후 절전운전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사용법을 제시하는 안내기능도 개발하여 적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Tadashi SAI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0
- 권(호)
- 85(997)
- 잡지명
- 冷凍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08~912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