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촉매에 의한 유기오염물 분해에서 TiO2의 역할

전문가 제언
TiO2의 경우 비교적 넓은 에너지 밴드 갭(3.2eV) 때문에 약 387nm의 파장을 갖는 UV 조사에 의해서만 활성화됨으로 지구표면의 태양에너지 3~5% 만을 이용할 수 밖에 없어 폐수처리 응용에 실질적이지 못하여 태양에너지 스펙트럼의 폭넓은 부분을 활용하기 위한 가시광선 응답형 광촉매 개발연구가 활발히 추진되어 실용화 직전에 와 있는 실정이다.
일본 KAST(Kanagawa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에서는 금속다공질소재에 TiO2 미립자를 열처리한 새로운 광촉매필터를 개발 특허출원 및 제품화하였으며, 수질환경 정화를 다양한 광촉매를 연구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환경부의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고효율 광촉매 기술개발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국내시장의 경우는 분말과 분산체의 시장이 주이며, 연구는 광촉매 고정화기술과 금속이온 첨가 기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최근 이산화티타늄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ABO3계 화합물인 SrTiO3계 화합물이 주목받고 있고, TiO2에 반도체성 세라믹스인 SnO2, ZrO2, ZnO 등을 첨가하여 광촉매 기능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는 광촉매 고정화기술, 금속이온첨가, 광촉매 신소재, 에너지 광원, 광촉매 코팅 기술 등에 대하여 추진되어야 하며, 광촉매 산업 발전을 위해 정부와 기업체의 연구기관 등이 체계적인 연구개발에 나서야 하며 중장기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민간차원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저자
Chao Min Teh, Abdul Rahman Mohame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1
권(호)
509
잡지명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48~1660
분석자
김*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